LG화학의 수주잔고가 대단하다. 150조원이라... 누구는 300조원이라고 하고...
게다가 최근 공시에 따르면 배터리부문 흑자폭이 커졌다고 한다.

2019년에 처음으로 분기 흑자를 기록한 후에, 적자-흑자를 오가다가 이번에 크게 분기 흑자를 기록했다.
매출액 2.8조에 영업이익 1500억 가량으로 영업이익률은 5.5% 가량된다.
전사 영업이익률은 8.2% 이며, 전사 영업이익률 견인은 석유화학이 담당한다.

- 2020년 2분기 IR자료 : https://www.lgchem.com/upload/file/ir-events/2020_2Q_biz_results_kor.pdf

 

배터리 부문이 큰폭의 흑자를 기록했고,
앞으로의 수주잔고가 확실하다면 buy하지 않을 수 없다.
단순히 계산해봐도 150조 매출에 10% 가량 영업이익을 내고, (규모의 경제로 사이즈가 커질수록 영업이익률은 개선될 것이라고 봄)
5년이내에 수주잔고를 소화한다면, 연간 30조 매출에 3조 영업이익을 올리는 셈이다.

이때의 회사가치는 M&A시 흔히 사용되는 `EBITDA**(간단히 세전영업이익)의 10배`를 가정하면
배터리부문의 가치는 매출액에 상당하는 30조원의 가치를 갖는 것이다.

현재(2020년 8월 1일)기준으로 연간 3조원에 조금 못미치는 실적을 내고 있는 LG화학의 지분가치는 30조원이 적당하나, 미래성장성에 대한 기대로 현재는 시가총액이 40조원에 달한다.

- LG화학 주가 :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51910

 

LG화학 - 네이버 금융 :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이 중 배터리 부문이 매출기준으로는 약 40% 수준이고, 영업이익 기준으로는 25% 수준이므로,
현재 시총의 25~40%를 배터리 부문이 담당한다는 가정하에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아래와 같다.

25%일때, 30조*0.25 = 7.5조
40%일때, 30조*0.4 = 12조

현재가치를 25%~40%로 가정했을때, 배터리 부문의 가치는 7.5~12조로 계산된다.
향후에 배터리부문의 가치가 30조원이 될 수 있다는 가정으로 얼마나 시총이 증가할지 또 한번 계산해보면,

30조 - 7.5조 = 22.5조
30조 - 12조 = 18조

18조에서 22.5조 가량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시총대비해서 45~56% 가량 더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주잔고가 확실하다면 그리고 더 늘어날 수 있다면 주가는 현재보다 최소 45~56% 가량 더 증가할 수 있다.


이제 정말 수주잔고가 150조인지 확인해보자.
아래 기사에 따르면 LG화학의 수주잔고가 150조 가량이 된다고 한다. 다른 자료에서도 120조 가량이었는데 30% 가량 증가해서 150조 가량이 되었다고 한다.

- LG화학 수주잔고 기사 :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7030900145100102650&svccode=04

 

LG화학, 25년만에 전기차배터리로 돈 벌까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하지만, 사업보고서를 확인해보자.
보통 중요한 계약이나(최근매출의 5%이상되는 단일계약) 수주잔고는 사업보고서(또는 분기보고서)를 통해 공시하는 편이다.

- LG화학 2020년 2분기 사업보고서 : 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0515001836
 . 사업보고서 안에서 "2. 사업의 내용" 또는 "3-6.기타 재무제표에 관한 사항" 에서 문자검색을 하여 확인해보자

 

LG화학/분기보고서/2020.05.15

 

dart.fss.or.kr

 

음?! 
사업보고서(분기보고서)에 따르면, 경영상의 주요한 계약에 배터리 공급에 관련된 계약내용이 없고,
수주잔고 또한 기록되어있지 않다.
수주잔고만 확실하다면 매수를 하지않을 이유가 없는데, 수주잔고가 왜 없을까? (아시는분 댓글좀 달아주세요)
MOU와 같이 구속력없는 형태의 계약에는 숫자(금액)는 있지만, 이 것을 사업보고서에 쓸 수는 없는 노릇이다.
따라서, LG화학이 체결한 계약들이 구속력 있는 계약인지, MOU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JV(Joint Venture, 합자법인)를 만들어 사업을 진행한다고 하는데, JV를 만들기까지가 MOU일 수도 있다. 
이때도 언론에는 합자형태로 사업을 진행해서 얼마만큼의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다고 흘릴 수 있다.
150조에 이런 수치들이 포함된 것인지 확인이 필요하고, 현재기준의 정확한 수주잔고 확인이 필요하다.


실제 계약으로 인해 수주잔고가 많은 조선업에서 조차도, 
계약이 취소되거나 대규모 적자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수주잔고가 사업보고서에 나오지않은 것은 의외이다.
특히, 배터리 공급보다 더 자잘한 규모의 수주잔고를 보유한 ITO(IT 아웃소싱) 회사들 조차도 수주잔고를 기록하는 편이다. 

아래는 삼성에스디에스(SDS)의 사업보고서이며, 
"2. 사업의 내용" 또는 "3-6.기타 재무제표에 관한 사항" 에서 문자검색을 하여 확인해보면 
수주잔고를 기록할 수 있다. 

- 삼성에스디에스(SDS) 사업보고서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0515001931

 

삼성에스디에스/분기보고서/2020.05.15

 

dart.fss.or.kr

 

반응형

Tesla는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이다.  
종목코드는 TSLA.  
전기차를 생산하며 Model S, Model X, Model 3, Model Y, Cybertruck, Semi(Truck type)를 개발/판매 하고 있다.  

왜 이 주식을 10배가 되는 것일까?  
전기차회사 라서 일까?  
내 대답은 '아니오' 이다.  

Tesla 의 숨겨진 능력은 다음과 같다.  
1. 생산자동화 
 : 기존 자동차 노조가 없기 때문에 첫 자동차 생산부터 최대한 자동화를 이루었다. 초기에는 생산자동화를 하던 중 불량을 검출하지 못해서 자동화의 폐해를 맛보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에는 버그를 수정하였고, 기존 자동차 제조사들이 무시하던 생산량 또한 큰 수준으로 증가를 시켰다. 현재는 분기당 10.3만대 이상 생산이 가능하다. 
  중국공장 capa 제외한 수준이며, 중국공장 준공이후에 딜리버리를 시작했다. 중국 공장의 capa는 현재 주당 1천대 수준이나 3천대 수준으로 확대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중국공장의 생산비용은 미국공장의 65%에 불과하고, 세제혜택까지 보고 있어서 영업이익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2. 자율주행기술 
 : Auto Pilot 이라는 자율주행기술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자율주행기술을 개발하는 회사는 여럿이나 실제 도로 데이터를 Tesla만큼 많이 수집하는 회사는 없다. 왜냐하면 이미 운행중인 자동차가 수집한 영상 및 센서 데이터들을 모두 Tesla가 가져가서 자율주행기술 업그레이드에 사용하고 있다. 대신 운전자(구매자)는 향상된 버전의 Software Patch를 받을 수 있다. 

3. 충전인프라 수직계열화 
 : 창업자인 Elon Musk가 원래 운영하던 회사 중 'Solar city' 라는 회사가 있다. 미국에서 태양광 충전을 비즈니스로 하는 회사인데, 이 회사가 적자로 돌아서자 Tesla와 합병 시켜버렸다. Recharge Infra가 없으면 전기차는 무용지물이 된다. 충전인프라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Tesla는 자동차와 충전인프라 모두를 제공할 수 있고, 자사에 유리하게 전략을 펼칠 것이다.  

4. 확장능력 
 : 일론머스크가 과거 운영하던 회사가 IT기반의 PayPal이라는 Fin-tech 회사이다. 다시말해 Elon Musk는 IT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래서 생산자동화를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이 것을 해외에 그대로 적용하기 위해 잘 정리를 해두었다. 결과적으로 중국 상해에 해외공장을 만들면서 1년이내에 공정건설 및 자동차생산 및 배달을 완료하였다. 향후 유럽에 동일한 방식으로 공장을 새로 만들 예정이다. 

5. 다음단계의 전략 
 : 이미 계약된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만 해도 이익이 나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것에 만족하지 않고, 향후 계약이 줄어들 것을 대비하여 자동차대여업도 병행하려 하고 있다. 또, 자율주행기술이 완성되어 운전자가 필요없게 되면 Robot-taxi 사업까지 직접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단기적으로 1번과 4번을 수행하여 회사의 매출과 이익을 극대화할 예정이며,  
시간이 지나면 나머지 숨겨진 능력들도 발휘하게 될 것이다.  
이때쯤 되면 Tesla는 단순히 자동차 제조사가 아닌 이동수단 서비스제공회사(Mobility Service Company)가 될 것이다. 


반면에, 경쟁자인 GM이나 TOYOTA의 상황을 보게되면... 
1) 전기차생산을 위해서는 직원교육을 해야한다  
2) 또, 기존 내역기관 자동차 생산라인을 해체하고, 전기차 생산라인을 구축해야 한다.  
이렇게 교육과 라인해체, 라인구축에 소비되는 시간이 2년이다.  
Tesla는 10개월정도면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결국 동시간대에 시작해도 Tesla는 14개월간 경쟁자 없이 이익을 독차지 할 것이다.  

자동차계의 Apple인 TESLA !  
이래도 안 살 건가요?

다른의견이나 좋은 정보 있으면 댓글로 공유 부탁드려요!!

반응형

- 본인차 이력조회 : http://www.car365.go.kr/

- 타인차 이력조회 : 카히스토리 App (연간 5회까지 770원, 초과시 건당 2200원 이용료 부과)


반응형

키워드 : 금리인상

- 한국금리인상 : 한국내에서 사업하는 기업들에 영향을 주지만, 한국금리 보다는 다른나라와의 상대적인 금리격차가 중요함(미국-한국금리차, 일본-한국금리차)

- 미국금리인상 : 세계경제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며, 기축통화로서 다른나라에 비해 안전하다는 인식이 큼. 따라서, 미국금리인상시 신흥국의 채권보다는 미국의 채권을 사기위해 글로벌 자금이 이동하고, 달러의 강세현상이 나타남


- 수혜종목 : 은행주, 보험주 등

 . 가계대출 비율이 높은 나라의 경우, 대출이 큰 부분이 부동산대출임. 따라서, 금리를 올리더라도 대출액을 쉽게 줄일 수 없음. 결국에는 은행이 금리인상분 만큼 수익을 보는 구조.

 . 기업 또한 조달비용이 상승하고, 가격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격탄력성이 높은 상품 또는 산업분야는 매출하락이 발생할 수 있음

 . 2006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은행 금리변화에 따른 은행의 매출, 영업이익 변화를 정리해본 결과, 금리인상이 영업이익에 직접적인 큰 영향을 미침(dart 및 한국은행 고시금리 자료 참조)


반응형

+ Recent posts